카테고리 없음

디지털 광고에 대하여 (PA, DA, SA의 정의와 성공사례)

오시비주 2024. 1. 11. 00:27

지난 시간 퍼포먼스 애드(PA)에 대하여 소개해 드렸는데요!

오늘은 심화 과정으로써 디지털 광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는 PA, DA, SA 각각의 정의와 특징, 그리고 한국의 성공 사례에 대하여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1. PA (Performance Advertising - 퍼포먼스 애드)

- 정의: 광고주가 특정 행동이나 목표 달성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광고 형태.

 

- 특징: 광고주는 원하는 성과(클릭, 판매, 가입 등)가 이루어질 때 비용을 부과하므로 효율적인 광고 운영이 가능함. 특별한 성과에 대한 트래킹이 중요함.

 

- 예시: 소셜 미디어에서의 특정 게시물을 공유하거나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광고 비용이 발생하는 모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유도하는 광고 등.

 

- 성공 사례: "쿠팡의 소셜 미디어 광고"

쿠팡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퍼포먼스 애드를 성공적으로 활용했습니다. 특히, 소셜 미디어에서 특정 상품의 할인 정보, 이벤트, 빠른 배송 서비스 등을 강조한 광고를 게재하고, 사용자가 해당 광고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거나 앱을 다운로드할 때까지의 성과에 대한 광고 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성공적인 마케팅을 이끌었습니다.

 

 

2. DA (Display Advertising - 배너 광고)

- 정의: 웹페이지나 앱 등의 디지털 공간에 이미지, 동영상 등을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형태.

 

- 특징: 시각적으로 눈에 띄며 브랜드 인식을 강화할 수 있음. 다양한 크기와 형식의 광고가 가능하며, 웹사이트의 여러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

 

- 예시: 온라인 뉴스사이트의 사이드바에 위치한 이미지 광고, 유튜브 동영상 중간에 삽입된 광고 등.

 

- 성공 사례: "롯데면세점 온라인 광고 캠페인"

롯데면세점은 다양한 디지털 채널을 통해 배너 광고를 활용하여 국내외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홍보하고 높은 시각적 효과를 얻었습니다. 특히, 여행 사이트나 항공사 웹페이지에서 롯데면세점의 다채로운 상품들을 소개하는 배너 광고를 통해 여행객들에게 눈에 띄게 노출되어 브랜드 인지도를 증가시켰습니다.

 

3. SA (Search Advertising - 검색 광고)

- 정의: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에 광고가 표시되는 형태로,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와 함께 나타남.

 

- 특징: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직접 대응하여 타겟팅이 가능함. 광고주는 클릭당 비용(CPC)을 지불하며, 성과 기반의 광고 모델임.

 

- 예시: 구글 검색 결과 상단에 표시되는 '광고'로 표시된 링크, 네이버 검색 결과 중간에 나타나는 광고 등.

 

- 성공 사례: "카카오 모빌리티 (Kakao Mobility)의 키워드 광고"

카카오 모빌리티는 키워드 광고를 활용하여 택시 호출 서비스를 홍보했습니다. 사용자가 택시를 필요로 할 때 검색 엔진에서 택시 호출과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면, 카카오 모빌리티의 광고가 상단에 노출되어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디지털 광고에 대하여 PA, SA, DA의 정의와 특징, 한국에서의 주요 성공 사례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해 드렸는데요! 일이 아니더라도 블로그, 자영업 등 다양한 일상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만큼 꾸준히 공부해서 내 것으로 만들었으면 합니다.